.

예방접종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건강클리닉입니다.


예방접종


전염성 질환 발생의 예방을 위해 미생물의 병원성을 죽이거나 약하게 하여 인체에 접종하는 것입니다.
특히 해외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여행국에서 정한 예방접종을 시행하고 국제 예방접종 증명서를 소지해야 합니다.

안내
인플루엔자 백신
(독감)
65세 이상에서 매년 10~11월에 1회 접종 / 산모의 경우 임신 2, 3기에 적합
인플루엔자 백신
(독감)
65세 이상에서 매년 10~11월에 1회 접종 / 산모의 경우 임신 2, 3기에 적합
폐렴사슬알균 백신 1회 접종 / 단, 면역저하자의 경우 5년마다 1회씩 접종 권장
폐렴사슬알균 백신
1회 접종 / 단, 면역저하자의 경우 5년마다 1회씩 접종 권장
수두 백신
(대상포진)
2회 접종 / 1차 접종 후 1~2개월 후 2차 접종 권장
수두 백신
(대상포진)
2회 접종 / 1차 접종 후 1~2개월 후 2차 접종 권장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자궁경부암)
3회 접종 / 1차 접종 후 2개월(2차), 6개월(3차) 접종 권장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자궁경부암)
3회 접종 / 1차 접종 후 2개월(2차), 6개월(3차) 접종 권장
A형 간염 백신 2회 접종 / 1차 접종 후 6~12개월 후 2차 접종 권장
A형 간염 백신
2회 접종 / 1차 접종 후 6~12개월 후 2차 접종 권장
B형 간염 백신 3회 접종 / 1차 접종 후 1개월(2차), 6개월(3차) 접종 권장
B형 간염 백신
3회 접종 / 1차 접종 후 1개월(2차), 6개월(3차) 접종 권장
주의사항
  • 1

    급성 감염성 질환을 비롯한 급성 질환이 있을 경우 부작용이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예방접종 투여가 금기 시 되기도 합니다.

  • 2

    접종 전에는 최근 발열이나 특별한 건강 상의 문제가 없었는지 꼭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 3

    풍진 예방접종의 경우 생백신을 투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투여 후 4주간 피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4

    예방접종 직후에는 주사 부위를 알코올솜으로 잘 문지르도록 하며 청결하게 관리합니다.

/_files/5P_0MSTQ_.jpg


※ 이 권장표와 변경 사항은 대한감염학회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습니다.(http://www.ksid.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