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환기 내과

정직한 진료로 건강을 지켜드리겠습니다.


부정맥


심장 전체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기 전달체계의 변화나 기능부전 등에 의해 초래되는 불규칙한 심장박동을 부정맥이라고 합니다.
심장 박동 수의 이상 혹은 율동의 이상을 의미하며 심방과 심실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인
  • 01
    전기전달체계 자체의 원인
    ㆍ 방실결절 기능부전군(방실차단, heart block)
    ㆍ 비정상적 전기전달체계의 존재(Wolff-Parkinson-White 증후군)
    ㆍ 정상적인 전기전달체계 이외의 곳에서 발생되는 전기파(기외수축 등)
    ㆍ 유전적 질환
  • 02
    심장의 변화
    ㆍ 심근경색 등의 허혈성 심질환
    ㆍ 선천성 심질환
    ㆍ 심근증, 심장판막질환
    ㆍ 여러가지 약물들
  • 03
    환경의 변화
    ㆍ 고도의 스트레스
    ㆍ 카페인
    ㆍ 술, 흡연
    ㆍ 불충분한 수면
증상
  • 1
    두근거림(심계항진)
  • 2
    맥이 빠짐
  • 3
    어지러움, 실신, 피로감
  • 4
    가슴통증, 흉부 불쾌감
  • 5
    호흡곤란
진단
심전도 검사 부정맥이 발생할 경우 심전도의 모양이나 리듬이 바뀌게 되므로 진단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모든 부정맥을 진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심전도 검사
부정맥이 발생할 경우 심전도의 모양이나 리듬이 바뀌게 되므로 진단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모든 부정맥을 진단하기는 어렵습니다.
홀터 검사 소형의 심전도기계를 환자의 몸에 부착하여 24시간 내내 심장박동상태를 기록하는 방법입니다.
홀터 검사
소형의 심전도기계를 환자의 몸에 부착하여 24시간 내내 심장박동상태를 기록하는 방법입니다.
전기생리학적 검사 팔이나 다리의 혈관을 통해 전극이 장착된 얇은 도관을 심장 내부로 삽입 후 심장의 반응을 관찰합니다.
전기생리학적 검사
팔이나 다리의 혈관을 통해 전극이 장착된 얇은 도관을 심장 내부로 삽입 후 심장의 반응을 관찰합니다.
심장초음파 검사 박동하는 심장의 형태를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박출량이나 심장내부의 혈액 흐름 등 다양한 기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심장초음파 검사
박동하는 심장의 형태를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박출량이나 심장내부의 혈액 흐름 등 다양한 기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 기능 검사 혈액 속의 갑상선 농도가 증가하는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경우 심장의 전기적 활동이 증가되어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갑상선 기능 검사
혈액 속의 갑상선 농도가 증가하는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경우 심장의 전기적 활동이 증가되어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방수칙
  • 1

    심방세동으로 와파린을 사용하는 환자들은 녹즙, 약초나 채소 등에 의해 약효가 감소하거나 출혈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음식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2

    알코올 성분은 부정맥을 악화시키므로 금주해야 합니다.

  • 3

    수면 부족, 스트레스, 피로와 같은 자극을 주는 요인들을 피해야 합니다.

  • 4

    매일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5

    새벽이나 아침시간보다는 오후나 저녁시간에 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