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환기 내과
정직한 진료로 건강을 지켜드리겠습니다.
협심증
협심증은 관상동맥질환에서 대표적으로 손꼽히는 질환입니다.
나이가 들게 됨에 따라 혈관 벽의 노화 현상 등 다양한 위험인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심장 근육의 혈류 공급에 장애
협심증은 관상동맥에 콜레스테롤과 다른 지방질 등이 쌓여서 혈관이 좁아짐에 따라 심장 근육으로 가는 혈류량이 부족해서 생기는 질환으로 흔히 앞가슴 한복판의 통증으로 나타납니다.
빨리 걸을 때, 계단을 오를 때, 운동할 때, 무거운 것을 들 때와 같이 신체의 움직임이 많아질 때 주로 발생합니다.
※ 관상동맥 : 심장의 근육이 끊임없이 수축과 확장을 반복하는데 필요한 산소와 영양소를 심장에 공급하는 혈관
가슴을 쥐어짜는 느낌과 같은 흉부의 압박감 및 통증
1. 가슴이 좁아진 듯 조이고 뻐근한 통증
2. 때때로 소화불량과 같은 증상
3. 어깨나 팔, 등, 목, 턱의 통증과 함께 호흡곤란 동반
-
01
심전도
심장 근육의 손상이 있는 경우 정상적인 전기적 자극의 전도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진단이 가능합니다.
-
02
흉부 방사선 사진
심장의 크기와 모양, 주요 혈관의 상태 등을 알 수 있는 매우 중요하고 기본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03
부하검사
인위적으로 심장에 수축운동을 부하함으로써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대표적으로 러닝머신 위에서 달리며 측정하는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가 있습니다.
-
04
심초음파도
전반적인 심장 기능, 심장벽 운동 상태, 판막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 심장의 이상 유무 및 일부 대동맥과 폐동맥 질환까지 파악 가능합니다.
-
1 금연, 적당한 유산소 운동, 저지방 식이요법 등을 실시하고 안정을 취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2 니트로글리세린을 응급약으로 사용합니다.
-
3 1회 1정/1일, 아스피린을 복용합니다.(전문의 처방 필수)
|